회사에서 직원 사회보험료 확인하기
(4대보험 개인별 보험료 확인 국민연금 국민건강 장기요양 고용 산재)사회보험통합징수포털 및 고용산재보험토탈서비스
1.사회보험통합징수포털 홈페이지에서 확인
2.고용산재보험토탈서비스 홈페이지에서 확인

1.사회보험통합징수포털 홈페이지

: 사회보험통합징수포털 홈페이지 접속> 고지내역조회> 보험료 산출내역 조회를 클릭합니다.

: 사업장 로그인합니다.

: 확인하고자 하는 보험을 선택하고 고지년도를 선택한 후 검색합니다.

: 화면 오른쪽 상단에 '산출내역(개인별조회)'를 클릭합니다.

: 개인별 고지 내용을 확인합니다.
: 정산내역과 환급 등 세부 내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: 국민연금, 건강보험, 장기요양보험은 사측부담금과 개인부담금이 50%이므로 홈페이지 출력 화면상의 금액을 사측과 개인 부담금을 나누지 않고 각각 계산하면됩니다.
: 고용보험과 산재보험은 자세한 내역이 나오지 않아서 고용산재보험토탈서비스 홈페이지를 방문합니다.
: 사회보험통합징수포털 홈페이지에는 육아휴직자도 명단에 나오지만 고용산재보험 토탈서비스에는 나오지 않아서 시간이 오래 걸리지 않으니 둘다 확인하여 금액을 확인합니다.
: 추후 전자신고 경감으로 5,000원씩 보험에서 할인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 부분도 잘 살펴봅니다.
2.고용산재보험토탈서비스 홈페이지

: 고용산재보험토탈서비스 홈페이지 접속> 부과고지 보험료 조회를 클릭합니다.(사업장/ 사무대행기관 메뉴의 두번째 네모 박스 메뉴)

: 사업장 로그인을 합니다.

: 관리번호 입력 후 돋보기 모양을 클릭합니다.

: 사업장을 확인하고 선택을 클릭합니다.

: 부과년도와 부과월을 선택하고 조회를 클릭합니다.

: 화면 스크롤을 아래로 내려보면 '사업장산정내역'에서 산재 및 고용보험 개인부과내역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.
: 산재, 고용 중 확인하고자 하는 메뉴를 클릭합니다.(흰색 부분이 클릭된 부분)
: 당월보험료 부과내역조회(간편조회)를 클릭합니다.

: 근로자의 산재보험 내역을 상세하게 할 수 있습니다.

: 고용을 선택하여 고용보험을 확인합니다.

: 고용보험 개인별 상세내역을 확인합니다.
*당월 중도 입사한 직원의 경우 월초에 사회보험 취득신고를 하면 당월에 부과되지만 중순 이후 사회보험 취득신고를 하면 익월에 정산되어 한꺼번에 청구되니 급여를 월별로 신청하는 시설에서는 이를 유의하여 인건비가 부족하게되는 일을 예방합니다.
*연금의 경우 날짜에 일할계산되지 않고 2달분의 국민연금이 청구되니 유의해야 합니다.
'사회복지 세무, 회계, 예산, 인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e나라도움 공동인증서 등록 및 변경 방법(보조금통합포털) (0) | 2025.04.21 |
---|---|
중소기업 취업자 소득세 감면신청 방법(근로자 및 회사에서 해야 할 일), 대상자: 청년, 장애인, 경력단절여성, 60세 이상인 자 (1) | 2025.04.21 |
간이지급명세서 거주자의 사업소득 기한후제출 방법(홈택스) (0) | 2025.04.16 |
희망이음 보조금 정산보고서 작성하는 방법(정산내역서 행삭제 등 수정방법 포함) (0) | 2025.04.14 |
e나라도움 권한실태점검 방법을 알아봅니다.(분기별로 해야합니다) (0) | 2025.04.14 |